한 개의 주제에 관련된 다양한 책들을 소개합니다.
새 학기의 시작, 그리고 새로운 독립. 낯선 공간에서 혼자 살아간다는 건 설렘과 기대만큼 어려움도 따르기 마련입니다. 처음 자취를 시작하는 신입생부터 졸업 후 사회로 나서는 이들까지, 가족을 떠나 혼자만의 공간을 얻으면 자유롭지만 막막하기도 하죠. 독립을 시작한 청년의 에세이와 현실적인 팁까지, 새로운 출발을 위한 책들을 만나보세요.
▣ 자취백과사전
자취남(정성권) 저 / 21세기 북스 출판 / 2024 소장정보 바로가기

“왜 세입자를 위한 부동산 정보는 없을까?”
자취를 결심하면 가장 먼저 ‘집 구하기’라는 난관에 부딪힌다. 예산 세우기부터 지역 결정, 부동산 방문, 계약, 대출, 이사까지 모든 과정이 쉽지 않다. 게다가 전세 사기 등의 흉흉한 뉴스는 초보 자취러를 불안하게 만든다. 덜컥 계약한 후 집이나 계약서에 문제가 있었다는 하소연도 흔하다. 하지만 부동산 정보는 매매 위주로 쏟아지고, 전세나 월세를 위한 정보는 찾기 어렵다.
이 책은 집을 구하는 전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고, 수많은 자취인을 만나며 얻은 실용적인 팁을 담았다. 또한, 현직 공인중개사가 전하는 임대차 실무의 핵심 내용을 더해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전세와 월세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가 필요한 세입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자취 필수 백과사전이 될 것이다.
▣ 정신이 들어요? 이제부터 혼자 사셔야 해요
둥지 저 / 와이즈로 출판 / 2023 소장정보 바로가기

대한민국 땅 한편에서 살아가는, 지극히 평범한 청년이 있다. 그는 갑작스러운 서울살이를 시작한다. 시골의 평화를 뒤로하고 찾아온 서울은 미지의 세상 같았다. 저마다 목적지가 정해진 차와 사람들 속에서, 그는 스스로를 불순물처럼 느낀다. 그의 첫 자취방은 좁고, 하수구 냄새가 나며, 냉장고 소음이 울려대는 곳이었다. 당시 유행병은 사람과의 교류도 막아, 그는 그곳에 방치될 수밖에 없었다.
마치 정신을 잃었다 깨어난 사람처럼 얼떨떨하게, 때로는 외롭고 우울하게 서울살이를 시작했지만, 그 안에도 행복은 있다. 그는 방 안의 초록섬에게, 사랑하는 사람과의 소소한 순간에게, 스스로 해내는 보람찬 일에게 사랑을 쏟아낼 준비가 되어 있다. 이 책은 회색 도시에서 자신만의 둥지를 찾아다닐 운명에 처한 이들에게 작은 위로와 친근함을 선물할 것이다.
▣ 9평 반의 우주
김슬 저 / 북라이프 출판 / 2019 소장정보 바로가기

"멀리서 보면 하찮고 가까이서 보면 짠내 나도 나는 내 우주가 마음에 들어요" 나를 닮은 방, 그 한 뼘 공간에서 펼쳐지는 내 인생의 재발견,
매거진 〈대학내일〉에서 특유의 섬세하고 위트 넘치는 필치로 많은 독자의 공감을 얻은 저자의 첫 독립 에세이다. 기숙사와 사택을 전전하다 상경한 지 7년 만에 비로소 자기만의 공간을 갖고 처음 겪게 된 좌충우돌 에피소드를 담았다.
저자는 첫눈에 반해 계약한 첫 집에서 독립의 로망이 깨지고, 웃풍과 곰팡이, 한겨울 동파 등 예기치 못한 사건들을 홀로 견뎌야 했다.
초보 자취러에서 독립 4년 차가 되기까지, 물리적 독립뿐 아니라 정신적 독립을 거치면서 취향은 분명해지고 현실을 바라보는 시야는 더 넓어졌다. 녹록지 않은 어른의 길에서, 취향과 욕망 사이에서 단단히 중심을 잡아가고 있는 저자의 이야기는 독립을 꿈꾸거나 현재 자기만의 우주를 만들어가고 있는 동시대 모든 ‘혼자’에게 따뜻한 공감과 위로를 전한다.
▣ 1인 가구 살림법
공아연 저 / 로고폴리스 출판 / 2017 소장정보 바로가기

현재 우리나라 1인 가구는 500만을 넘어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혼삶은 더 이상 임시 단계가 아닌 시대의 ‘대세’가 되었다. 하지만 생활을 혼자 책임지는 일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살림을 소홀히 하면 생활이 엉망이 되기 쉽고, 잘 관리해야 만족도도 올라간다. 혼자 살아도 내 공간을 편안하고 쾌적하게 만드는 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집 구하기부터 청소, 요리, 수납까지 혼자서도 효율적으로 살림하는 법을 제시한다. 처음엔 어렵고 버거울 수 있지만, 요령을 익히면 삶에 여유가 생긴다. 저자가 13년간 체득한 150가지 살림 노하우가 담긴 이 책이, 혼자 사는 삶이 뜻대로 되지 않아 지치고 힘든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위로가 되기를 바란다.
> 글, 이미지 출처: 동산도서관 홈페이지, 교보문고
> 편집위원: 이윤지 사서, 학술정보서비스팀 제1자료실
'2025 > 174호(3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문헌 산책] 진성이씨 족보(대구시 유형문화유산) (0) | 2025.02.21 |
---|---|
[독계비] 김동식 작가의 「회색 인간」 을 읽고 (0) | 2025.02.21 |
[씽!씽!] 2-3층 리모델링 현장 미리 보기 (0) | 2025.02.21 |
[핫-뉴스] 2025년 3월 각종 프로그램, 행사 안내 (0) | 2025.02.21 |
[Library & People] 동산도서관 사람들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