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ing] 하나의 주제를 세가지 테마로 나누어 책을 소개합니다.
유난히 무더운 2015년 여름은 광복 70주년을 맞이하는 특별한 해입니다. 전국에서 광복 7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행사와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2015년에 우리 선조들이 강제 징용된 군함도를 비롯하여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시설이 세계유산에 등록되었습니다. 웹진 86호에서는 조선시대부터 일본과 관계된 우리의 역사와 해방직후 우리의 모습과 관련된 책들을 소개합니다.
▣ 조선과 일본의 악연
기해동정록
권오단/산수야/2015/811.37권오단ㄱ
대마도는 '옛날에 우리 계림(신라)에 속해 있었는데 언제 왜인들의 소굴이 되었는지 알 수 없다.'라고 동국여지승람 등 여러 사료에서 언급된다. 칼을 품고 한반도 밖으로 나선 유일한 조선의 역사, 기해년에 이루어진 대마도 정벌을 통하여 독도가 일본땅이라고 주장하는 요즘, 우리 영토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징비록
최희수 외/글항아리/2015/951.553K23ㅈ
징비록은 7년간의 왜란을 겪은 류성룡이 전쟁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모든 사건과 자취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다. 만약 임진왜란 당시 조선이 무너졌다면 조선말에 있었던 국권침탈과 식민지가 몇 백년 당겨졌을지도 모른다. KBS 대하사극 징비록 제작팀이 직접 말하는 징비록과 류성룡의 이야기! 누구나 잘 아는 임진왜란이지만 류성룡이 풀어쓴 사건들을 통하여 1590년대로 떠나보자.
▣ 식민지 시대와 우리의 삶
숫자로 본 식민지 조선
이계형 외/역사공간/2014/951.6이계형ㅅ
대한민국
MBC/프리이코노미북스/2015/306.0951M478ㄷ
해외원조에 의존하던 아시아 최빈민국에서 경제강국이 되기까지 한국경제는 어떻게 발전되었을까? 이 책은 최불암의 나레이션으로 광복70주년 다큐멘터리 '대한민국'을 한 권의 책으로 담아낸 것이다. 대한민국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베트남 참전과 독일 간호사 등으로 파견되어 한국 경제발전에 큰 틀이 되었던 그날의 역사를 이 책을 통하여 알아보자.
<사진출처: 인터파크>
'2015 > 86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brary & People] 2015 하계 FTA 글로벌 현장체험 연수 참여자 안태환 학생 (0) | 2015.07.28 |
---|---|
[씽!씽!] 봉사활동을 가다 (0) | 2015.07.28 |
[독.계.비]나의 삼촌 부루스 리 (0) | 2015.07.28 |
[동산연가]시사.교양 관련 국내간행물과 전자자료를 소개합니다. (0) | 2015.07.28 |